나라사랑

카테고리 없음 2024. 3. 28. 12:39

점심 무료급식 준비시간은 오전 9시부터 11시까지입니다.
11시 정각이 되면 배식이 시작됩니다.
두 시간 사이에 모든 준비를 마쳐야 합니다.
그 시간 급식소는 전쟁터와 같습니다. 정신이 하나도 없습니다.
드디어 11시가 됐습니다.
이용자는 벌써 들어와 앉아있습니다.
이제 배식하는 일만 남았습니다.
모든 준비가 끝났다고 안심했을 때 큰일이 터집니다.
오늘 국은 육개장이었습니다.
마지막으로 간을 봤습니다.
매웠습니다. 보통 매운 게 아니었습니다. 무진장 매웠습니다. 못 먹을 정도였습니다.
순간 사이렌이 울렸고 비상이 났습니다.
머릿속이 텅 비었습니다.
모든 봉사자가 일제히 얼음이 됐습니다.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 것인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 아무것도 생각이 안 납니다.
앉아있는 이용자들은 봉사자에게만 시선이 고정됐습니다.
너무나 창피했습니다.
난감했고 자포자기하고 싶었습니다.
재빨리 집으로 줄행랑 치고 싶었습니다.
아내가 빨리 마트로 달려가 콩나물을 사오라 했습니다.
물을 안치고 콩나물국을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그동안 크리스토퍼 사장님들은 레크리에이션을 진행했습니다.
재치 있게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습니다.
진땀 났던 하루였습니다.
가끔 이런 스팩타클한 일이 벌어집니다.
--
백의종군(白衣從軍)이란 흰색 옷을 입고 전쟁터에 나가 싸운다는 뜻입니다.
이순신 장군이 인기가 급상승 하자 주위에 시기하는 사람이 생겼습니다.
이로 인해 모든 직책을 빼앗겼습니다.
그래도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임진왜란에 참전했습니다.
다시 말해, 자신의 계급과 권한을 모두 내려놓고 가장 아래에서 전쟁을 치룬 것입니다.
조선이란 나라를 얼마나 사랑했는지 우리 모두가 충무공(忠武公) 이순신이라 부르는 것도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우리나라를 너머 세계사에서 찾아볼 수 없는 제독(提督, admiral or flag officer)이라 불리울만 합니다.
정치인이 많이 쓰는 말인데 과연 이럴까 의문이 듭니다.
백의종군의 본뜻은 내가 가진 모든 권한을 포기하고 처음으로 돌아가 “밑바닥부터” 다시 하겠다는 의미인데 말입니다.
진짜 처음으로 돌아갈 자신 있습니까? 정말 옛날로 돌아갈 자신 있습니까?
그러나 나는 다른 각도에서 뜻풀이를 해보고 싶습니다.
이순신의 뚝심, 결연한 의지를 보았습니다.
임금에게 아첨하는 자들에게 맞서 조금도 변함없이 걸어갔던 그,
한번이 아닌 두 번의 백의종군을 겪으면서도 흔들리지 않았으며,
인생이 망하고 패배한 것 같은데 다시 일어섰던 그분의 정신.
무료급식을 미친듯이 하다보면 아무 이유없이 밸(창자)이 꼬이게 만드는 존재가 나타납니다.
살살 시비걸고, 괜히 미워하고, 관청에 민원넣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함없이, 뚝심있게 치고 나가겠습니다.
중간중간 쓰러지고 망한 것 같아 보여도
그것이 내가 걸어가야 할 길이라면 확신을 갖고 백의종군 하겠습니다.
나도 대한민국을 사랑하는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엉덩이가 무거운 사람이 되고 싶습니다.
먼 훗날 어떻게 평가해줄지 모르지만 죽는 날까지 처음가졌던 마음 그대로 간직한 채 나아가겠습니다.

Posted by 만나무료급식소
,

2012년부터 무료급식을 시작해 12년이 됐습니다.
처음엔 볼품없었습니다. 규모도, 재정도 작고 미흡했습니다.
당연한 게, 더열린교회가 전부 부담하기엔 한계가 있었고, 삼삼오오 개인후원도 많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다가 2016년 비영리 단체를 만들었습니다.
단체를 만들고 지금까지 8년의 시간이 흘렀습니다.
하나님이 지켜주셨고 여러 후원자가 도와줬습니다.
단체를 만들려면 "기본재산"이 있어야합니다.
기본재산이 없으면 통과시켜주지 않습니다.
기본재산은 임의로 쓸 수 없는 돈입니다.
단체가 존속하는 한 그대로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급하다고 해서 유용할 수 있는 돈이 아닙니다.
우리 입장에선 목돈을 들어가는 것이고 굉장히 아까웠지만 모험을 걸 수밖에 없었습니다. 다른 방도가 없었습니다.

비영리단체를 만들고 날개를 펼 수 있었습니다.
이전과는 차원이 다르게 성장했습니다.
정부가 정한 기준에 부합한 단체가 되니 인식이 달라졌습니다.
국가가 공인하고, 사람들이 인정한 것입니다.
저절로 후원기업이 생겼습니다.
믿고 후원하는 개인과 단체가 생겼습니다.
정말 복 많이 받았습니다.
처음엔 기본재산이 아까웠지만 지금 생각해보면 비교할 수 없는 축복을 받은 셈입니다.  

현재 무료급식소가 이전을 앞두고 있습니다.
지금보다 임대료가 비싼 곳입니다.
그래도 결단해야 했습니다.
다시 한 번, 큰 모험을 걸기로 다짐했습니다.
배포가 그렇게 두둑하지 않지만 그래도 늘 함께하는 주님을 신뢰하며 가보겠습니다.

내 글은 "인간 김성민"입니다.
살아가면서 직접 경험한 것들입니다.
삶에서 체험했던 재료를 가지고 글쓰기를 합니다.
사골국물 처럼 푹 우려낸 것들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얄팍한 잔꾀로 위기를 모면할 수 없습니다.
거짓으로 지어낼 수 없는 글입니다.
만약 지어냈다면 언제 들켜도 들킬 것입니다.
무료급식을 시작하고 12년을,
또 공인된 단체를 만들고 8년을 지내왔습니다.
많은 후원자가 지켜보았고, 주무관청이 관리감독했습니다.
무료급식을 하면 할수록 "정직"이 제일 중요한 덕목이란 걸 깨닫습니다.

지난 3월 9일이 둘째 아이 생일이었습니다.
조촐하게 가족 외식을 갔습니다.
미취학아동은 5천원, 초등학생부터는 12,900원이었습니다.
첫째가 학교를 다닌 지 5일째 되는 날이었습니다.
순간 엄마가 어떻게 된 건지 첫째 아이에게 이렇게 말했습니다.
“유주야, 너 유치원 다닌다고 할래?”
“엄마 나 초등학교 1학년 1반 6번이야. 거짓말하면 안 돼.”
아이 말이 맞습니다.
언제 어디서나 정직을 가르쳐야 하고, 부모가 먼저 정직해야 합니다.
“내가 손해보는 순간이 와도 정직을 잃어버리면 안 된다. 망각하는 순간 무료급식소는 망한다.”란 일념으로 살아갑니다.
기본재산보다 더 많이 후원받는 이유,
우리를 믿고 흔쾌히 지갑을 여는 이유는 "정직" 때문이 아니겠습니까?
믿음이 안 가는 단체에 무슨 후원을 하겠습니까?
말에 앞뒤가 다른 사람에게 무슨 돈을 보내겠습니까?

전에 교회에서 사람을 쓴 적이 있습니다.
근데 자꾸 거짓말을 하는 게 아닙니까?
한 번, 두 번은 넘어갔지만 더이상은 안 되겠다 싶어 인연을 끊어버렸습니다.
이제는 그 사람이 콩으로 메주를 쑨다해도 안 믿습니다.
절대 거짓말을 용납할 수 없습니다.
칸트가 말했던 "선한거짓말"이라 할지라도 나는 단호하게 말하고 싶습니다.
"거짓말은 절대절대 안 됩니다."
기본재산을 뽕빨 뽑을 수 있었던 이유는
첫째, 단체를 만들었고,
둘째, 삶 속에서 정직을 실천했기 때문입니다.

Posted by 만나무료급식소
,

뒷자리

카테고리 없음 2024. 3. 25. 23:34

가끔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구입합니다.
쇼핑을 마치면 주차한 곳까지 카트를 끌고 가 트렁크에 짐을 싣습니다.
너무나 당연한 얘기지만, 빈 카트는 제자리에 놓고옵니다.
놓고 올 때도 과격하게 휙 처박지않고 카트보관소에 곱게 집어넣습니다.

우리 아이들에게 교육하는 게 있습니다.
식당에 가서 밥 먹을 때 조용히 먹기.
서빙하는 어른에게 예의 바르게 인사하기.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 식사를 마치고 나올 때 내가 앉았던 의자를 직접 집어넣기.

어렸을 때부터 부모님께 배운 게 있습니다.
“사람은 앉았다 일어난 곳이 깨끗해야 한다. 뒤가 구려서는 안 된다. 끝맺음을 잘 하고, 명확히 해라”
수시로 뒤를 돌아보며 내가 머물렀던 곳을 살펴야 했습니다.
형편상 그렇지 못해도 마음 속 깊은 데는 “은혜갚음”에 대한 강박이 있어야 함을 익히 배웠습니다.

40년 전, 강원도 철원에서 살았습니다.
교회 장로님께 10만원을 빌렸습니다.
잃어버렸다가 갑자기 꿈에서 생각났습니다.
그 즉시 철원으로 달려가 갚고 온 사람이 우리 부모님입니다.

하던 사업이 망하면 살던 곳에서 야반도주하면 되지 않습니까?
이 세상엔 더 뻔뻔하고 낯짝 두꺼운 사람이 얼마나 많습니까?
그러나 동네를 떠도 내가 저지른 일은 깨끗이 처리한 다음 뜨겠다는 일념으로 살았던 분이 우리 부모님입니다.
이것을 알아주든, 안 알아주든 상관없습니다.
우리 가족끼리 나눈 대화는 사실이니까요.
“여보, 우리는 빚 다 갚은다음 이사갑시다. 여러 사람에게 축복받으며 떳떳하게 갑시다. 그때 비로써 아들이 있는 교회로 갑시다.”

지역에서 함께 사역하던 목사님이 있습니다.
사정상 교회를 이전해야 했습니다.
기존의 땅을 급히 처분해야 할 상황이었습니다.
그래야 새로운 성전으로 이전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 교회가 관심을 보였습니다.
이단 교회가 가장 적극적이었습니다.
그러나 단호하게 거절했습니다.
“아무리 급해도 이단에게는 넘기지 않겠다.”
그때부터 주사랑교회 정명범 목사님을 달리봤습니다.

우리 교회도, 무료급식소도 이전을 앞두고 있습니다.
11년 전 들어올 때, 먼저 있던 사장님께 시설비(권리금)를 주고 들어왔습니다.
현재까지 건물에 들어간 인테리어비도 상당합니다.
그러나 다 안 받으려 합니다.
괜히 받았다가 이상한 소문에 휩싸일까봐 그냥 깨끗하고 원만하게 처리하려는 마음입니다.
사업하는 것도 아닌데 교회에서 권리금이 웬말입니까?
좁은 지역에서 언제 나도 날 소문입니다.
소문이 무서운 게 아니라 어렸을 때부터 배운 대로 행동하려는 겁니다.
유종의 미를 거두고 싶습니다,
내가 앉았다 일어난 곳이 깨끗하길,
다음에 들어오는 사람이나 교회가 더 부흥되길 간절히 기도합니다.

Posted by 만나무료급식소
,